https://www.acmicpc.net/problem/7569
7569번: 토마토
첫 줄에는 상자의 크기를 나타내는 두 정수 M,N과 쌓아올려지는 상자의 수를 나타내는 H가 주어진다. M은 상자의 가로 칸의 수, N은 상자의 세로 칸의 수를 나타낸다. 단, 2 ≤ M ≤ 100, 2 ≤ N ≤ 100,
www.acmicpc.net
1 초 | 256 MB | 72264 | 30188 | 22120 | 41.591% |
문제
철수의 토마토 농장에서는 토마토를 보관하는 큰 창고를 가지고 있다. 토마토는 아래의 그림과 같이 격자모양 상자의 칸에 하나씩 넣은 다음, 상자들을 수직으로 쌓아 올려서 창고에 보관한다.

창고에 보관되는 토마토들 중에는 잘 익은 것도 있지만, 아직 익지 않은 토마토들도 있을 수 있다. 보관 후 하루가 지나면, 익은 토마토들의 인접한 곳에 있는 익지 않은 토마토들은 익은 토마토의 영향을 받아 익게 된다. 하나의 토마토에 인접한 곳은 위, 아래, 왼쪽, 오른쪽, 앞, 뒤 여섯 방향에 있는 토마토를 의미한다. 대각선 방향에 있는 토마토들에게는 영향을 주지 못하며, 토마토가 혼자 저절로 익는 경우는 없다고 가정한다. 철수는 창고에 보관된 토마토들이 며칠이 지나면 다 익게 되는지 그 최소 일수를 알고 싶어 한다.
토마토를 창고에 보관하는 격자모양의 상자들의 크기와 익은 토마토들과 익지 않은 토마토들의 정보가 주어졌을 때, 며칠이 지나면 토마토들이 모두 익는지, 그 최소 일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단, 상자의 일부 칸에는 토마토가 들어있지 않을 수도 있다.
입력
첫 줄에는 상자의 크기를 나타내는 두 정수 M,N과 쌓아올려지는 상자의 수를 나타내는 H가 주어진다. M은 상자의 가로 칸의 수, N은 상자의 세로 칸의 수를 나타낸다. 단, 2 ≤ M ≤ 100, 2 ≤ N ≤ 100, 1 ≤ H ≤ 100 이다. 둘째 줄부터는 가장 밑의 상자부터 가장 위의 상자까지에 저장된 토마토들의 정보가 주어진다. 즉,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하나의 상자에 담긴 토마토의 정보가 주어진다. 각 줄에는 상자 가로줄에 들어있는 토마토들의 상태가 M개의 정수로 주어진다. 정수 1은 익은 토마토, 정수 0 은 익지 않은 토마토, 정수 -1은 토마토가 들어있지 않은 칸을 나타낸다. 이러한 N개의 줄이 H번 반복하여 주어진다.
토마토가 하나 이상 있는 경우만 입력으로 주어진다.
출력
여러분은 토마토가 모두 익을 때까지 최소 며칠이 걸리는지를 계산해서 출력해야 한다. 만약, 저장될 때부터 모든 토마토가 익어있는 상태이면 0을 출력해야 하고, 토마토가 모두 익지는 못하는 상황이면 -1을 출력해야 한다.
예제 입력 1 복사
5 3 1
0 -1 0 0 0
-1 -1 0 1 1
0 0 0 1 1
예제 출력 1 복사
-1
예제 입력 2 복사
5 3 2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0 0
0 0 0 0 0
예제 출력 2 복사
4
예제 입력 3 복사
4 3 2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예제 출력 3 복사
0
문제 해설
3차원 배열이라 조금 헷갈렸다. 인덱스가 꼬이고 하다보니 다른 블로그를 찾아봤다.
BFS를 한 번만 진행시킨 후, 전체 배열에 남은 토마토가 있는지 체크를 한다.
남은 토마토가 있을 경우, -1을 리턴해주고, 그게 아니라면 현재 토마토 배열에 있는 최대값에 -1을 해서 걸린 시간을 나타내도록 하였다.
익은 토마토가 1로 시작하고 여기에 +1을 해가며 배열에서 최대값을 구하는 방식으로 BFS를 진행했기 때문에 -1을 해줘야 걸린 시간이 나온다.
또한 모두 익어있는 경우는 마지막에 토마토 전체를 탐색하는 부분에서, 탐색을 마쳤는데 최대값이 1인 경우에는, 옆으로 탐색을 진행하지 않은 경우, 곧 모두 다 익어있는 경우여서 result==1일 경우에만 0을 출력하도록 했다.
package BOJ;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ArrayDeque;
import java.util.Queue;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BJ_7569_토마토 {
static class tomato
{
public tomato(int z, int x, int y) {
this.z = z;
this.x = x;
this.y = y;
}
int x;
int y;
int z;
}
static int M;
static int N;
static int H;
static int[][][] map;
static int[] dx = {-1,0,1,0,0,0};
static int[] dy = {0,1,0,-1,0,0};
static int[] dz = {0,0,0,0,1,-1};
static Queue<tomato> que = new ArrayDeque<>();
// 1 : 익은 토마토
// 0 : 익지 않은 토마토
// -1 : 토마토 없음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M = Integer.parseInt(st.nextToken());
N = Integer.parseInt(st.nextToken());
H = Integer.parseInt(st.nextToken());
map = new int[H][N][M];
for(int i=0; i<H; i++)
{
for(int j=0; j<N; j++)
{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for(int k=0; k<M; k++)
{
map[i][j][k]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f(map[i][j][k] == 1)
{
que.add(new tomato(i,j,k));
}
}
}
}
System.out.println(BFS());
}
public static int BFS()
{
while(!que.isEmpty())
{
tomato temp = que.poll();
int x = temp.x;
int y = temp.y;
int z = temp.z;
for(int dir=0; dir<6; dir++)
{
int nx = x+dx[dir];
int ny = y+dy[dir];
int nz = z+dz[dir];
if(nx < 0 || N <= nx || ny < 0 || M <= ny || nz < 0 || H <= nz)
continue;
if(map[nz][nx][ny] == 0)
{
que.add(new tomato(nz, nx, ny));
map[nz][nx][ny] = map[z][x][y] + 1;
}
}
}
int result = Integer.MIN_VALUE;
for(int i=0; i<H; i++)
{
for(int j=0; j<N; j++)
{
for(int k=0; k<M; k++)
{
if(map[i][j][k] == 0)
{
return -1;
}
result = Math.max(result, map[i][j][k]);
}
}
}
if(result == 1) return 0;
else return result-1;
}
}
'알고리즘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9251 - LCS Java (0) | 2023.07.11 |
---|---|
백준 2179 - 비슷한 단어 Java (0) | 2023.07.09 |
백준 1863 - 스카이라인 쉬운거 Java (0) | 2023.06.17 |
백준 2638 - 치즈 Java (0) | 2023.06.01 |
백준 15591 - MooTube (Silver) (1) | 2023.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