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백준

백준 2607 - 비슷한 단어 (Java)

2024. 4. 21. 21:01

https://www.acmicpc.net/problem/2607

 

2607번: 비슷한 단어

첫째 줄에는 단어의 개수가 주어지고 둘째 줄부터는 한 줄에 하나씩 단어가 주어진다. 모든 단어는 영문 알파벳 대문자로 이루어져 있다. 단어의 개수는 100개 이하이며, 각 단어의 길이는 10 이

www.acmicpc.net

문제

영문 알파벳 대문자로 이루어진 두 단어가 다음의 두 가지 조건을 만족하면 같은 구성을 갖는다고 말한다.

  1. 두 개의 단어가 같은 종류의 문자로 이루어져 있다.
  2. 같은 문자는 같은 개수 만큼 있다.

예를 들어 "DOG"와 "GOD"은 둘 다 'D', 'G', 'O' 세 종류의 문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양쪽 모두 'D', 'G', 'O' 가 하나씩 있으므로 이 둘은 같은 구성을 갖는다. 하지만 "GOD"과 "GOOD"의 경우 "GOD"에는 'O'가 하나, "GOOD"에는 'O'가 두 개 있으므로 이 둘은 다른 구성을 갖는다.

두 단어가 같은 구성을 갖는 경우, 또는 한 단어에서 한 문자를 더하거나, 빼거나, 하나의 문자를 다른 문자로 바꾸어 나머지 한 단어와 같은 구성을 갖게 되는 경우에 이들 두 단어를 서로 비슷한 단어라고 한다.

예를 들어 "DOG"와 "GOD"은 같은 구성을 가지므로 이 둘은 비슷한 단어이다. 또한 "GOD"에서 'O'를 하나 추가하면 "GOOD" 과 같은 구성을 갖게 되므로 이 둘 또한 비슷한 단어이다. 하지만 "DOG"에서 하나의 문자를 더하거나, 빼거나, 바꾸어도 "DOLL"과 같은 구성이 되지는 않으므로 "DOG"과 "DOLL"은 비슷한 단어가 아니다.

입력으로 여러 개의 서로 다른 단어가 주어질 때, 첫 번째 단어와 비슷한 단어가 모두 몇 개인지 찾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는 단어의 개수가 주어지고 둘째 줄부터는 한 줄에 하나씩 단어가 주어진다. 모든 단어는 영문 알파벳 대문자로 이루어져 있다. 단어의 개수는 100개 이하이며, 각 단어의 길이는 10 이하이다.

출력

입력으로 주어진 첫 번째 단어와 비슷한 단어가 몇 개인지 첫째 줄에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복사

4
DOG
GOD
GOOD
DOLL

예제 출력 1 복사

2

 

풀이

경우의 수를 생각해 봤을 때

1. 길이가 같고, 구성이 같은 경우

2. 길이가 1 짧은 경우(나머지 단어가 1 모자라도 됨)

3. 길이가 1 많은 경우(나머지 단어가 같아야 함)

위 경우만 고려해주면 되는 것이었다.

 

코드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Arrays;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BJ_2607_비슷한단어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 1. 두 개의 단어가 같은 종류의 문자로 이루어져 있다.
        // 2. 같은 문자는 같은 갯수만큼 있다.
        // 위 조건을 만족하면 GOOD

        //길이가 같고, 구성까지 같은 경우
        //길이가 짧은 경우(같은 단어의 수 -1 이 참일 경우)
        //길이가 긴 경우(같은 단어의 수 +1이 참일 경우)

        int N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result = 0;
        String str = br.readLine();
        for (int i=0; i<N-1; i++)
        {
            String str2 = br.readLine();
            int cnt = 0;
            int[] arr = new int[26];
            for(int j=0; j<str.length();j++)
            {
                arr[str.charAt(j)-'A']++;
            }
            for(int j=0; j<str2.length();j++)
            {
                if(arr[str2.charAt(j)-'A']>0)
                {
                    cnt++;
                    arr[str2.charAt(j)-'A']--;
                }
            }
            if(str.length() == str2.length() && (str.length()==cnt || str.length()-1 == cnt))
            {
                result++;
            }
            else if (str.length() == str2.length() -1 && str2.length()-1 == cnt)
            {
                result++;
            }
            else if (str.length() == str2.length()+1 && str2.length() == cnt)
            {
                result++;
            }
        }
        System.out.println(result);
    }
}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새창열림)

'알고리즘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7682 - 틱택토 (Java)  (0) 2024.04.22
백준 11501 - 주식 (Java)  (1) 2024.04.22
백준 18429 - 근손실  (0) 2024.04.16
백준 14940 - 쉬운 최단거리 Java  (0) 2024.04.15
백준 17484 - 진우의 달 여행 (Small)  (0) 2024.04.14
'알고리즘/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백준 7682 - 틱택토 (Java)
  • 백준 11501 - 주식 (Java)
  • 백준 18429 - 근손실
  • 백준 14940 - 쉬운 최단거리 Java
D_Helloper
D_Helloper
안녕_개발
D_Helloper
Hello_Develop
D_Helloper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116)
    • CS (23)
      • 네트워크 (16)
      • 운영체제 (6)
    • 알고리즘 (48)
      • 백준 (39)
      • 프로그래머스 (7)
      • SWEA (1)
    • DB (6)
      • SQLD (2)
      • DataBase (4)
    • JAVA (13)
    • ETC (16)
    • 일상 (5)
    • Develop (4)
      • Docker (1)
      • TIL (1)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공지사항

  • Contact

인기 글

태그

  • restful
  • HTTP 메소드
  • OSI 계층
  • 네트워크 계층
  • http method
  • HTTP 상태코드
  • REST
  • TCP/IP 5계층
  • Internet 5계층
  • HTTP
  • OSI 7계층
  • CRUD
  • REST API

최근 댓글

최근 글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D_Helloper
백준 2607 - 비슷한 단어 (Java)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