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92341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문제 설명
주차장의 요금표와 차량이 들어오고(입차) 나간(출차) 기록이 주어졌을 때, 차량별로 주차 요금을 계산하려고 합니다.
아래는 하나의 예시를 나타냅니다.
기본 시간(분) | 기본 요금(원) | 단위 시간(분) | 단위 요금(원) |
180 | 5000 | 10 | 600 |
- 입/출차기록
시각(시:분) | 차량 번호 | 내역 |
05:34 | 5961 | 입차 |
06:00 | 0000 | 입차 |
06:34 | 0000 | 출차 |
07:59 | 5961 | 출차 |
07:59 | 0148 | 입차 |
18:59 | 0000 | 입차 |
19:09 | 0148 | 출차 |
22:59 | 5961 | 입차 |
23:00 | 5961 | 출차 |
- 어떤 차량이 입차된 후에 출차된 내역이 없다면, 23:59에 출차된 것으로 간주합니다.
- 0000번 차량은 18:59에 입차된 이후, 출차된 내역이 없습니다. 따라서, 23:59에 출차된 것으로 간주합니다.
- 00:00부터 23:59까지의 입/출차 내역을 바탕으로 차량별 누적 주차 시간을 계산하여 요금을 일괄로 정산합니다.
- 누적 주차 시간이 기본 시간이하라면, 기본 요금을 청구합니다.
- 누적 주차 시간이 기본 시간을 초과하면, 기본 요금에 더해서, 초과한 시간에 대해서 단위 시간 마다 단위 요금을 청구합니다.
- 초과한 시간이 단위 시간으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으면, 올림합니다.
- ⌈a⌉ : a보다 작지 않은 최소의 정수를 의미합니다. 즉, 올림을 의미합니다.
주차 요금을 나타내는 정수 배열 fees, 자동차의 입/출차 내역을 나타내는 문자열 배열 record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차량 번호가 작은 자동차부터 청구할 주차 요금을 차례대로 정수 배열에 담아서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문제 해석
문자열로 주어진 배열에서 데이터를 나누고, 해당 차량이 IN 일때 가장 가까운 OUT을 찾아 분을 계산하는 식으로 접근했다.
만약 IN은 있지만, OUT이 없는 경우, 23:59분으로 따로 처리해주었다.
자동차 번호는 9999번까지밖에 없기에, 10000크기의 Int형 배열을 사용해서 차량 번호마다 누적 주차시간과 누적 요금을 계산했다.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List;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fees, String[] records) {
//누적 주차 요금을 저장할 Int형 배열
int[] result = new int[10000];
//누적 주차 시간을 저장할 Int형 배열
int[] time_list = new int[10000];
//10000개의 번호중 입,출차된 차량의 정보만 처리하기 위해 list 생성
List<Integer> list_answer = new ArrayList<>();
A : for(int i=0; i<records.length;i++)
{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records[i]);
String time = st.nextToken();
// :을 기준으로 시간과 분을 나눠서 hour[0] : 시간, hour[1] : 분으로 활용
String[] hour = time.split(":");
// 차량 번호
String number = st.nextToken();
// IN인지, OUT인지 판별하기 위함
String state = st.nextToken();
// 만약 i번째의 값이 IN이라면
if(state.equals("IN"))
{
//i 이후부터 탐색하며 OUT인 값을 찾음
for(int j=i+1; j<records.length; j++)
{
st = new StringTokenizer(records[j]);
String time2 = st.nextToken();
String[] hour2 = time2.split(":");
String number2 = st.nextToken();
String state2 = st.nextToken();
//j번째 번호가 i번째 번호와 같다면, 입차 다음은 출차이기 때문에 조건 성립
if(number.equals(number2))
{
// 입차 시간을 분으로 환산
int startmin = Integer.parseInt(hour[0])*60 + Integer.parseInt(hour[1]);
// 출차 시간을 분으로 환산
int endmin = Integer.parseInt(hour2[0])*60 + Integer.parseInt(hour2[1]);
// time_list에 차량번호번째 인덱스에 출차시간-입차시간으로 주차 시간 누적
time_list[Integer.parseInt(number)] += endmin-startmin;
// 아래로 진행하지 않기 위해 continue
continue A;
}
}
//만약 IN 기록은 있지만 OUT이 없는 경우.
//hour2에 23:59를 넣어서 계산
String[] hour2 = {"0","0"};
hour2[0] = "23";
hour2[1] = "59";
int startmin = Integer.parseInt(hour[0])*60 + Integer.parseInt(hour[1]);
int endmin = Integer.parseInt(hour2[0])*60 + Integer.parseInt(hour2[1]);
time_list[Integer.parseInt(number)] += endmin-startmin;
}
}
//0000번부터 9999번까지 탐색을 하면서, 누적 시간이 있는 경우에만 이후 진행
for(int i=0; i<10000; i++)
{
if(time_list[i]!=0)
{
// 누적 요금에 기본 요금 더하기
result[i] += fees[1];
// 누적 시간 - 기본 시간
int result_time = time_list[i]-fees[0];
// 만약, 결과가 0보다 작으면 0으로 바꿔 계산하지 않도록 함.
if(result_time<0) result_time=0;
// 소숫점을 올림해서 요금 계산을 해야 함.
result[i] += Math.ceil((float)result_time/fees[2])*fees[3];
// 결과를 list_answer에 담음
list_answer.add(result[i]);
}
}
// list_answer의 값을 answer로 옮김
int[] answer = new int[list_answer.size()];
for(int i=0; i<list_answer.size(); i++)
{
answer[i] = list_answer.get(i);
}
return answer;
}
}
'알고리즘 > 프로그래머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_2019 카카오 개발자 겨울 인턴십 크레인 인형뽑기 게임 (0) | 2022.10.09 |
---|---|
프로그래머스_2021 Dev_Matching 로또의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 (0) | 2022.09.29 |
프로그래머스_2021 KAKAO BLIND RECRUITMENT 신규 아이디 추천 (0) | 2022.09.24 |
프로그래머스_연습문제_2xn타일링 (0) | 2022.09.15 |
프로그래머스_2022 KAKAO TECH INTERNSHIP 성격 유형 검사하기 (0) | 2022.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