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커란 ?
간단하게, 리눅스 컨테이너를 만들고, 사용할 수 있는 컨테이너화 기술 !
HOST - 운영체제가 설치된 메인 컴퓨터
Container - 각각의 호스트에서 격리된 각각의 실행 환경
- 운영체제 전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아님
- 앱이 실행되는데 필요한 lib, bin 같은 파일만 설치되어 있음
Image - 컨테이너 실행에 필요한 파일과 설정 값 등을 포함하고 있는 것
- ubuntu 이미지는 ubuntu를 실행하기 위한 모든 파일을 가지고 있음
- MySQL 이미지는 debian을 기반으로 MySQL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파일과 실행 명령어, 포트 정보 등을 가지고 있음
Layer?
- 이미지는 여러개의 읽기 전용 레이어로 구성되고, 파일이 추가되거나 수정되면 새로운 레이어 생성
- ubuntu 이미지가 A+B+C의 집합이라면, ubuntu 이미지를 베이스로 만든 nginx 이미지는 A+B+C+nginx가 된다.
- 이러한 레이어를 종합해서 하나의 파일 시스템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 바로 유니온 파일 시스템!
도커 설치
설치하기 전에 !
사용하는 CPU가 AMD라면 - SVM 활성화(BIOS에서 설정)
사용하는 CPU가 Intel이라면 - VT 활성화(BIOS에서 설정)
Hyper-V 설정
Docker 공식 홈페이지 : docker.com

Developers의 Docs로 진입.

아래의 Download and install 진입

자신의 운영체제에 맞는 링크 클릭

Windows 일 경우 위와 같은 화면에서 파란색 박스 안의 Docker Desktop for Windows 클릭
해당 파일을 다운로드 후 Install
만약 Install 후 실행했는데

이러한 메시지를 만났다면 ?
아래와 같이
Windows Powershell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후
dism.exe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Microsoft-Windows-Subsystem-Linux /all /norestart
dism.exe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VirtualMachinePlatform /all /norestart
위 명령어를 순차적으로 입력한 후에

위 링크로 들어가 WSL2 Linux 커널 업데이프 패키지 다운로드 후 설치하고 Docker를 재실행 해본다.
짜란 ! Docker 실행 화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