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O OSI 7 Layer
-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통신하는 구조를 7개의 계층으로 분리, 각 계층간의 인터페이스를 정의한 네트워크 표준
- 표준의 의미로 제작
계층 | 내용 | PDU |
1 Layer | 물리 계층(Physical Layer) | Bit |
2 Layer | 데이터 링크 계층 (Datalink Layer) | Frame |
3 Layer | 네트워크 계층 (Network Layer) | Packet |
4 Layer | 전송 계층 (Transport Layer) | Segment |
5 Layer | 세션 계층 (Session Layer) | Data |
6 Layer | 표현 계층 (Presentation Layer) | Data |
7 Layer | 응용 계층 (Application LLayer) | Data |
물리 계층 (Physical Layer)
- 전기적, 기계적 기능적인 특성을 이용해 데이터 전송
- 0과 1의 비트열로 이루어진 데이터 전달
데이터 링크 계층 (Datalink Layer)
- 물리적인 연결을 통해 인접한 두 장치 간의 신뢰성 있는 정보 전송을 담당(Point-To-Point)
- MAC 주소를 통해 통신
- 하나의 링크로 연결된 노드 사이의 Frame(비트 묶음)을 교환
네트워크 계층 (Network Layer)
- 중계 노드를 통하여 전송하는 경우 어떻게 중계할 것인가를 규정
- 라우팅 기능을 맡고 있는 계층으로, 목적지까지 가장 안전하고 빠르게 데이터를 보낼 수 있음
- IP 주소가 네트워크 계층의 헤더에 속함
-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호스트 사이의 데이터 Packet을 교환
전송 계층 (Transport Layer)
- 종단 간 신뢰성 있고 정확한 데이터 전송을 담당
-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 Port 번호를 사용함 ( TCP , UDP )
세션 계층 (Session Layer)
- 통신 장치 간 상호작용 및 동기화를 제공
- 대화 패턴과 관련된 사항을 담당
표현 계층 (Presentation Layer)
- 데이터를 어떻게 표현할 지 정하는 역할을 하는 계층
응용 계층 (Application Layer)
- 응용 프로세스 간의 정보 교환을 담당
추상화의 개념을 적용하여 상위 계층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하위 계층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 특정 계층은 하위 계층에서 어떠한 작업을 하는 지 알 필요가 없다. 어떠한 데이터를 전송해 주는지만 알면 되고, 해당 데이터를 가지고 상위 계층에 서비스만 해주면 된다.
데이터 전송 시에는 7계층에서 1계층으로 각각의 층 마다 인식할 수 있는 헤더를 붙여가며 캡슐화를 진행한다.
수신시에는 반대로 1계층에서부터 7계층으로 헤더를 떼어내며 디캡슐화를 진행하는데, 여기서 붙여지는 헤더는 각 계층에서 담당하는 데이터 단위를 맞추기 위함이다.
Internet 5 Layer (TCP/IP 5계층)
- OSI 7계층은 네트워크를 구축할 때 참고만 하는 모델이 되었고, 실제로는 해당 Internet 표준 모델이 사용된다.
'CS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ST와 REST API (1) | 2022.11.29 |
---|---|
HTTP 메소드와 상태코드 (0) | 2022.11.29 |
Circuit Switching vs Packet Switching (0) | 2022.11.27 |
Client-Server Model (0) | 2022.11.21 |
P2P (0) | 2022.11.21 |